이번 시간에는 WiFi solution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물인터넷의 최종 단말에 Zigbee, Bluetooth, RFID, NFC 등의 다양한 기술들이 경쟁을 하는 반면에 최종 단말에서 데이터를 받아 인터넷이나 클라우드로 연결해 주는 기술로는 WiFi 가 독보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더구나 최근에 출시되는 WiFi solution은 저전력 기술로 설계되고, 또 Zigbee 가 지원했던 meshing/bridging, IPv6, SEP2.0 등을 지원하며 다른 무선 솔루션 대비 WiFi 의 가장 큰 장점인 호환성을 무기로 오히려 Zigbee, Bluetooth, RFID, NFC 등이 사용되는 최종 단말쪽으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과거 Intel의 무선사업부에서 분사하여 설립된 Gainspan의 WiFi solution에 대하여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시중에 유통되는 WiFi solution은 아래 좌측의 그림처럼 WiFi MAC만 있고 Host Processor에 WiFi MAC 구동용 driver 와 network stack 및 security 등의 application 을 올려서 사용하는 반면에, Gainspan의 WiFi solution은 아래 우측의 그림처럼 single IC에 두개의 Cortex M3 core와 memory, RTC 등을 내장하고 있어 외부 CPU에서 간단한 at command를 사용하여 UART/SPI/SDIO 등의 serial interface 를 통하여 원하는 data를 WiFi 망으로 보낼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따라서, 아래 좌측의 일반적인 WiFi solution을 사용하가 위해 최소 32bit CPU 이상이 요구되는 반면에, Gainspan의 WiFi solution은 8/16/32 bit의 MCU에 구애받지 않고 WiFi 구현이 가능합니다.
또, 저전력으로 설계되어 있어 standby 나 deep sleep mode에서 uA 단위의 전류를 소모함으로써 battery 로 구동되는 WiFi application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 신규로 출시된 GS2000 SoC의 경우 single IC에서 Zigbee IP 와 WiFi 를 동시에 지원해 사물인터넷에서 Gateway 역활을 하기엔 충분해 보입니다.

Gainspan WiFi solution에 대한 좀 더 자세한 내용은 www.linkcon.co.kr를 참조 부탁드리며, 다음 장에서는 Gainspan WiFi module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