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3월 5일 수요일

10. Gainspan single chip serial to WiFi solution 소개


이번장에서는 사물인터넷 device 와 Gateway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Gainspan의 WiFi solution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앞 장에서 설명하였듯이, 일반적으로 우리가 많이 사용하고 있는 WiFi solution은 WiFi MAC 만 있어서 외부 CPU에 WiFi driver와 application 등을 내장하여 구동하는 반면, 오늘 소개하는 Gainspan WiFi solution은 single 칩에 2개의 Cortex M3 core( 1 for WiFi, 1 for application)와 memory 등을 내장하여 standalone으로도 WiFi 구현이 가능한 솔루션입니다. 또, 기존에 8/16 비트의 MCU를 사용하였다면 그 MCU의 UART/SPI/SDIO 등의 serial interface를 통하여 간단한 at command만으로 원하는 data를 WiFi 망으로 전송할 수 있는 solution 입니다.
따라서, 전자에 소개한 일반적인 WiFi solution 이 스마트폰, 블랙박스, IP Camera 등의 consumer 제품에 많이 사용되는 데 반해, Gainspan WiFi solution은 사물인터넷, 세탁기, 냉장고, 에에콘 등의 Home Appliances, 의료기기, Smart Home Applicaiton 및 AMI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음은 Gainspan에서 2013년 출시한 GS2000 의 내부 block diagram과 각각의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2 x Cortex M3 core
두개의 저전력 MCU인 Cortex M3 core를 사용하여 하나는 WiFi 전용, 하나는 application 전용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2. 64KB dual port SRAM
두 개의 MCU 사이에 64KB dual port SRAM을 내장하여 WiFi 전용 MCU와 Application MCU 사이에 고속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3. 1MB OTP ROM and external Flash Memory Controller
내부에 1M OTP ROM을 내장하여 기본적인 WiFi 관련 binary는 내부 OTP에 program하였으며, 외부 Flash Memory Controller를 내장하여 user application 과 patch가 외부 memory에 저장되고 구동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4. 1MB SRAM
내부에 1MB size의 충분한 SRAM을 내장하여 appication 구동시 원활히 구동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5. WiFi MAC and 802.15.4 ZigBee IP MAC
WiFi MAC 과 Zigbee IP MAC를 동시에 내장하여 WiFi 와 Zigbee IP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습니다.
6. UART/SPI/SDIO serial interface
외부 MCU와 UART/SPI/SDIO 등의 serial interface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합니다.
SDIO의 경우 Slave 만 지원하고 있습니다.
7. ADC/DAC
ADC/DAC를 내장하여 외부 MCU 없이 내부 resource 만으로도 WiFi solution 구현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위의 block diagram과 각각의 특징에서 알수 있듯이 Gainspan WiFi solution은 single IC에서 WiFi와 Zigbee IP가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다음 시간에서는 IC가 아닌 Gainspan GS2000을 사용한 Gainspan WiFi/Zigbee module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www.linkcon.co.kr를 참조 부탁드리겠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