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3월 5일 수요일
16. WiFi module 의 provisioning에 대하여
이번 장에서는 WiFi solution 의 provisioning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모든 공간에는 한개, 혹은 다수의 WiFi network 혹은 AP (Access Point), 또는 스마트폰을 통한 테더링 이 가능해, WiFi network의 SSID와 password만 안다면 언제 어디서든지 WiFi 망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Server에 접속이 가능합니다.
이는 사물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WiFi 망의 SSID와 password만 안다면 WiFi 망을 통하여Server에 일정한 간격으로 data를 주거나 받을 수 있습니다.
쉽게 풀어서 이야기 하면, 요즈음 대부분의 가정에 AP(공유기) 또는 다른 WiFi network 설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WiFi 가 가능한 보일러, 온도조절기, Video Phone, 냉장고, 세탁기, door lock 를 사용한다면 언제든지 WiFi망을 통하여 Server로 data 를 전송하고 받을 수 있습니다.
또, 이 때 WiFi가 가능한 보일러, 온도조절기, Video Phone 등에서 WiFi 망에 접속을 위해서는 공유기/WiFi network의 SSID와 password를 알아야 합니다.
물론 때로는 password를 필요치 않는 WiFi 망이 있지만 이 경우에는 예외 입니다.
하지만, WiFi 가 가능한 보일러, 온도조절기, Video Phone 등을 제조하는 회사에서 제품을 출시할 때 댁내에서 사용하는 모든 공유기/WiFi 망의 SSID와 password를 저장하여 댁내 설치시 자동으로 WiFi망에 접속하도록 하기는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이 때 사용자 혹은 설치기사가 WiFi가 가능한 보일러, 온도조절기, Video Phone 등을 댁내의 공유기/WiFi network 에 쉽게 접속하기 위한 방법이 provisioning 입니다.
WiFi provisioning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며, 사용자 혹은 설치기사가 좀 더 쉽게 공유기/WiFi network에 연결할 수 있도록 더 많은 방법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 WiFi 제품 출시시 DHCP Server를 설정하여 사용자 또는 설치기사가 PC 혹은 Smartphone으로 WiFi 제품의 webpage에 접속하여 집적 사용하는 공유기/WiFi network의 SSID와 password를 입력하는 방법과 전용 Smartphone App를 통한 방법 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Smartphone App의 QR code를 통한 인증, RFID 혹은 NFC를 통한 인증 등의 좀 더 쉽게 설정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다음 장에서는 Gainspan WiFi solution를 사용할 때 Gainspan WiFi solution에 내장된 webpage를 통하여 SSID와 password를 설정하여 댁내의 공유기/WiFi network에 접속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